고양시 데이터센터 지중화 공사 불법·비리 의혹

투데이1

webmaster@gsdaily.co.kr | 2025-09-25 13:12:10

고철용 비리행정척결운동본부장, 시민 안전사고 우려 주장
"인접 불구 공사 강행에 균열 등 피해" 건물주도 문제 제기

고양시의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을 위한 지중화 공사가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더해 불법 및 비리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비리행정척결운동본부 고철용 본부장은 25일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고양시 전역에서 진행 중인 지중화 공사 가운데 일부가 심각한 안전 위협을 안고 있다"며 "시민의 생명을 담보로 한 부실 시공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고압전선 8개 배관 중 수도배관 아래 4개와 위로 2개를 접한 시공 현장. (사진=비리행정척결운동본부)

고 본부장은 고양시 내 9곳에서 진행되는 15만4000볼트 특고압 전기 지중화 사업을 언급하며, 특히 오금동에서 벌어진 문제를 중심으로 의혹을 제기했다.

오금동의 공사는 이미 준공된 덕이동을 제외하고, 나머지 7곳은 착공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고 본부장은 "오금동과 그 인근 지역에서 시민 10만 명 이상이 순식간에 위험에 처할 수 있는 불법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2022년 덕양구청에서 인허가가 떨어지고 공사가 시작된 후, 공무원들이 이를 문제삼아 재시공 결정을 내렸으나,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14만 리터 유류탱크 저장소 위치 모습. . (사진=비리행정척결운동본부)

이날 회견에는 피해를 입은 건물주 유 모 대표도 참석했다. 유 대표는 데이터센터 건설로 인한 재산 피해를 호소하며, 고양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문제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건물이 데이터센터와 불과 10여 미터 떨어져 있는데도 시공사는 1년 동안 발파 작업을 계속 진행했다"며 "그로 인해 건물에 균열과 누수 피해가 발생했으나, 고양시 건축정책과에 민원을 제기했을 때 묵살당했다"고 주장했다.

유 대표는 이어 "두 차례나 고양시장에게 직접 도움을 청하려고 했지만, 담당 부서는 면담조차 거부했다"고 분노를 표출했다.

그는 "시공사가 법적 기준인 1.2m 이격거리를 지키지 않고 50cm 간격으로 전선 배관을 설치했으며, 상수도관과도 불과 50cm 거리를 두고 배관을 매설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삼송동 일대 10만 명의 주민들이 전류 누전이나 가스 폭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격거리 1.2m 규정 불구 실제 0.5m도 안되는 현장. (사진=비리행정척결운동본부)

고 본부장과 유 대표는 고양시 상하수도사업소를 방문해 현장 확인을 요청했고, 그제야 담당 부서는 문제를 인정하며 재시공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일부 구간에 대해서만 재시공이 결정되자, "누군가의 외압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유 대표는 또한 "삼송역~오금동 구간에 매설된 특고압 전선은 도로 위 차량과 시민의 안전을 위해 차폐판과 보호판을 덮도록 되어 있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건축주와 시공사가 사익을 위해 시민의 안전을 무시한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고 본부장은 "고양시 감사실은 즉각 감사에 착수하고, 위법 행위를 저지른 건축주와 시공사에 대한 수사를 의뢰해야 한다"며 "이동환 고양시장은 오금동 데이터센터의 인허가를 취소하거나 공사를 중단하고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비리행정척결운동본부 측은 고양시와 시공사, 건축주의 입장이 확인되는 대로 후속 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투데이1.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